개발자이야기/JavaScript이야기
우편번호 규칙
윈도우탐쉐끼
2009. 5. 14. 09:14
반응형
- /**
- * Method [String getArea(strZipCode)]
- *
- * @ date : 2009-01-07
- * @ author : blue1769 (blue1769@naver.com)
- * @ param : zipCode
- * @ description : method [String getCityName(nCheck)]와 함께 사용,
- * 우편번호를 입력받아 해당하는 지역을 출력
- */
- public static String getArea(String zipCode)
- {
- int nCheckNum = -1;
- int nSelectIndex = -1;
- try
- {
- nCheckNum = Integer.parseInt(zipCode.substring(0, 3));
- }
- catch (NumberFormatException e)
- {
- e.printStackTrace();
- }
- finally
- {
- return getCityName(nCheckNum);
- }
- }
- /**
- * Method [String getArea(strZipCode)]
- *
- * @ date : 2009-01-07
- * @ author : blue1769 (blue1769@naver.com)
- * @ param : zipCode 앞 3자리
- * @ description : 우편번호 앞 3자리를 입력받아 해당하는 지역을 출력
- */
- public static String getCityName(int nCheckNum)
- {
- String[] szrgCities = { "서울", "강원", "대전", "충남", "충북", "인천", "경기",
- "광주", "전남", "전북", "부산", "경남", "울산", "제주",
- "대구", "경북", "모름" };
- if (nCheckNum >= 100 && nCheckNum <= 199) return szrgCities[0];
- else if (nCheckNum >= 200 && nCheckNum <= 299) return szrgCities[1];
- else if (nCheckNum >= 300 && nCheckNum <= 309) return szrgCities[2];
- else if (nCheckNum >= 310 && nCheckNum <= 359) return szrgCities[3];
- else if (nCheckNum >= 360 && nCheckNum <= 399) return szrgCities[4];
- else if (nCheckNum >= 400 && nCheckNum <= 409) return szrgCities[5];
- else if (nCheckNum >= 410 && nCheckNum <= 499) return szrgCities[6];
- else if (nCheckNum >= 500 && nCheckNum <= 509) return szrgCities[7];
- else if (nCheckNum >= 510 && nCheckNum <= 559) return szrgCities[8];
- else if (nCheckNum >= 560 && nCheckNum <= 599) return szrgCities[9];
- else if (nCheckNum >= 600 && nCheckNum <= 619) return szrgCities[10];
- else if (nCheckNum >= 620 && nCheckNum <= 679) return szrgCities[11];
- else if (nCheckNum >= 680 && nCheckNum <= 689) return szrgCities[12];
- else if (nCheckNum >= 690 && nCheckNum <= 699) return szrgCities[13];
- else if (nCheckNum >= 700 && nCheckNum <= 711) return szrgCities[14];
- else if (nCheckNum >= 712 && nCheckNum <= 799) return szrgCities[15];
- else return szrgCities[16];
- }
작업 도중 필요해서 만들었지만 두고 쓸만한 것 같아서 올린다.
우리나라 우편번호는 대강 이러한 규칙이 있다고 한다.
통상 우편번호의 모양은,
" 000-000 "
위와 같은 총 여섯자리의 숫자로 각 세자리씩 분리되어 있다.
뒷쪽으로 갈수록 세부적인 주소를 나타낸다는 것은
평범하게 고민해봐도 알만한 부분이긴 하지만
정확히 지역 명칭을 얻어오기 위해서 정확한 정보가 필요했던 차에
검색으로 다음과 같은 규칙을 찾아낼 수 있었다.
앞쪽 세 자리의 숫자가 다음과 같은 경우에 각각 해당하는 지역을 나타낸다고 한다.
ZipCode | Area |
---|---|
100 ~ 199 | 서울 |
200 ~ 299 | 강원 |
300 ~ 309 | 대전 |
310 ~ 359 | 충남 |
360 ~ 399 | 충북 |
400 ~ 409 | 인천 |
410 ~ 499 | 경기 |
500 ~ 509 | 광주 |
510 ~ 559 | 전남 |
560 ~ 599 | 전북 |
600 ~ 619 | 부산 |
620 ~ 679 | 경남 |
680 ~ 689 | 울산 |
690 ~ 699 | 제주 |
700 ~ 711 | 대구 |
712 ~ 799 | 경북 |
꽤나 한참 찾았는데 마땅히 쓸만한 정보가 없었다.
생각난 김에 html 노가다로 표까지 만들었으니
필요한 여러분이 있다면 가져가셔서 유용하게 쓰시길 바랍니다.
Posted by blue1769
************* 이글은 blue1769님께서 작성하신 글을 포스팅 해온 내용입니다^^*****************************
반응형